정의기억연대와 수요시위를 적극 지지하고 연대한다

 

의롭고 힘든 일에 힘을 보태기는커녕 재를 뿌리는 일부 세력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 30년 동안 일제 식민지지배 산물인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해 피해 할머니들과 함께 수요시위를 이끌어 온 여성평화·인권 활동을 헐뜯는데 그치지 않고 수요시위와 그 목적 자체를 부정하려는 반민족 반인권 반인륜 행패를 더는 지켜보고만 있을 수 없다.

 

수요시위는 고 김학순 할머니의 용기 있는 일본군 성노예 고발과 떨어져 생각할 수 없다. 18살 어린 소녀 시기 강제로 끌려가 성노예를 강제 당했던 김 할머니는 일본정부가 이 같은 반인권 반인륜 범죄 행위를 부정하자 1991814,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를 찾아 최초의 피해자 증언이자 일제만행 고발 기자회견을 가진 바 있다.

 

일본군성노예 실체를 알리고 일본정부의 사실 인정과 사죄, 법적 배상, 재발방지, 소녀상 건립 등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해 결성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는 마침내 199218일본군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시작했고, 그 첫날 6개항의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바로 조선여성을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연행한 사실을 인정할 것 일본정부의 공식사죄 강제연행 등 만행의 전모를 밝힐 것 희생자를 위한 추모비를 세울 것 생존자와 유족에게 배상할 것 재발방지를 위해 역사교과서에 기재하고 교육시킬 것 등이었다.

 

수요시위는 그 주장의 정당성으로 정대협 주관 단체 뿐 아니라 인권 관련 유관단체, 여성단체, 사회단체, 평화단체, 종교단체, 법률단체, 학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단체가 주체가 되어 진행해 왔다. 가해국인 일본을 비롯한 일본군성노예 피해국인 중국, 대만, 호주, 네델란드, 인도네시아 등 여러 나라와 연대하게 되었고, 특히 이북의 조선 일본군성노예 및 강제연행 피해자문제 대책위원회와도 공동투쟁을 했었다. 정의·평화·인권 등 인류가 지향하는 보편가치에 국경을 초월하고 있었다.

 

20111214일 제1000회 수요시위 때는 국내 9개 지역 30개 도시, 세계 8개국 42개 도시에서 일본군성노예 피해자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한 대회가 열렸고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평화의 소녀상을 세우기도 했다.

 

일본군성노예 만행은 이미 유엔을 통해 반인도적 범죄로 규정되었고 특히 전시 성폭력문제는 일제의 만행 뿐 아니라 오늘의 세계 곳곳에서 자행되는 여성에 대한 전시성폭력문제로 새롭게 부각시켜 여성에 대한 평화·인권 문제로 승화시키기도 했다.

 

이렇게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와 인권회복에 더해 우리 민족의 존엄과 자주성, 인류 보편가치 실현을 위해 활동하며 헌신을 다해온 단체와 활동가를 헐뜯고 재 뿌릴 데가 과연 어디 있단 말인가!

 

그러나 모든 일이 완벽할 수는 없다. 정의기억연대(정대협 포함)는 단순한 모금, 후원단체가 아니다. 일본군성노예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유엔을 비롯한 관련국가 등 전 세계를 다니며 회의하고 토론하고 결의하는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제기된 의혹에서 후원금 입금, 지출 등에 부분적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정의연이 말한 대로 외부 회계감사를 받아 잘못이 있다면 고치면 된다. 이 문제는 정의연 활동의 본질 문제가 아니다.

 

또 윤미향 전 대표가 12.28 한일밀약을 미리 알았다는 의혹도 외교부가 그렇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30년을 오직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해 헌신해 온 윤 전 대표가 이른바 최종적·불가역적 합의소녀상의 적절한 해결’, ‘국제사회에서 이 밀약의 비난·비판 자제를 미리 알고묵인했단 말을 믿을 수 있단 말인가! 미국의 배후조종으로 감행된 12.28 밀약이었고, 첫 수요시위 현장에서 이용수 할머니와 윤미향 대표가 분노하는 모습을 똑똑히 지켜봤다.

 

일본군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와 함께 국가보안법 철폐와 양심수 전원석방을 위한 목요집회를 이어오고 있는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와 정의·평화·인권을 위한 양심수후원회는 언제나 그러했듯이 정의기억연대와 수요시위를 진정으로 믿고 지지하며 연대해 나갈 것이다.

 

 

2020516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정의·평화·인권을 위한 양심수후원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권오헌의 가려졌던 통일여정> 문집 주문 안내 양심수후원회 2023.12.26 149
368 [11/3-4] 역사기행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0.05 3007
367 [10/28] 생명평화대행진 2차 '민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0.26 2978
366 [11/3] 생명평화대행진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1.01 2548
365 [11/13] 전태일 42주기 추도식 및 기념 행사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1.12 2830
364 [11/17] 조국통일범민족연합 결성 22돌 기념식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1.13 3609
363 [11/26] <민족문제연구소 근현대사 진실 찾기 프로젝트> 역사 다큐 ‘백년전쟁’ 시사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1.21 4432
362 [12/7] 제주강정투쟁기금 마련을 위한 평화콘서트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1.26 3368
361 [12/8] 민중대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1.28 3599
360 [12/8] 양심수후원회 2012년 회원 송년모임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1.28 3899
359 [12/28] 더 이상 죽이지 마라! 비상시국촛불집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2.12.28 3153
358 강정평화를 위한 겨울학교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1.07 3096
357 [1/14-20] 용산참사 4주기 추모주간 일정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1.10 2889
356 사면대상자명단 취합합니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1.21 3881
355 [1/26] 쌍용차로 향하는 희망버스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1.22 3684
354 [1/28-2/6] 박근혜차기​정부 남북화해협력 대북정책 촉구 시민사회단체 공동행동 양심수후원회 2013.01.25 3769
353 [1/31] 용산참사 진상규명 촉구와 출소 철거민 환영문화제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1.30 3223
352 [2/2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견학 양심수후원회 2013.02.13 4616
351 [3/9] 양심수후원회 제25차 정기총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2.18 10003
350 [2/28] 100전 100승 결의대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2.27 3416
349 [3/26-30] 민족지도자 장준하선생 유해정밀감식결과 대국민보고대회 및 겨레장 file 양심수후원회 2013.03.13 12292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