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향장기수 2차 송환, 통일부 결정만 남았다"비전향장기수 송환20주년 기념행사위원회, 투병중14명 조속한 2차송환 촉구 
                                                                                                                                                 이승현 기자  |  shlee@tongilnews.com

db9243d2c18a4af4fbb7affabeef32ca.jpg▲ 비전향장기수 송환 20주년을 맞아 인권.종교.시민사회단체들은 18일 2차 송환희망자 14명의 조속한 송환을 촉구했다. [사진제공-비전향장기수송환 20돌기념 준비 사회단체 대표자회의]


2000년 9월 2일. 6.15공동선언 합의에 따라 63명의 비전향장기수들이 판문점을 통해 북측지역으로 건너갔다. 까마득하게 느껴지는 그날로부터 벌써 20년의 세월이 흘렀다.

당시1차 송환 대상으로 분류되었지만 미처 신청하지 못했거나, 잔혹한 고문에 강제전향당한 경우, 그리고 전협정 이후 송환되었어야 할 전쟁포로이면서도 오히려 수십년 징역을 살았던 전쟁포로 출신 등 33명은 1차 송환에 함께 하지 못하고 20년째 2차 송환희망자로 남아있다.
 
인권·종교·법률·시민사회단체들은 18일 서울 종로구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비전향장기수 송환20주년 기념행사위원회' 대표자회의를 갖고 2차 송환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9월에는 '비전향장기수 송환 20돌 기념 및 2차 송환 촉구대회'를 갖기로 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비전향장기수 송환은 6.15공동선언 합의사항 이행이면서 인도주의와 동포애 정신의 빛나는 결실"이라고 평가하고는 "우리들 인권·종교·법률·시민사회는 보다 적극적인 힘을 모아 더 이상 열네명 송환 희망자들이 세상을 떠나기 전, 반드시 빠른 시일 안에 그리운 조국과 가족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인영 통일부장관이 인도주의 사안중 하나로 '죽기전에 만나는 것'에 대해 말하고,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기념사에서 '죽기전에 만나고 싶은 사람 만나고 가보고 싶은 곳을 가볼 수 있'게 하자고 언급할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비전향장기수 2차 송환 문제에 대한 당국의 역할을 촉구했다.


7da8d5e961519b8511c269a30a8d327e.jpg

▲ 비전향장기수 김영식선생님이 강제전향공작에 대하여 증언하였다. [사진제공-비전향장기수송환 20돌기념 준비 사회단체 대표자회의]


앞서 2001년 2월 6일 2차 송환희망자 33명이 '강제전향은 전향이 아니'라며, '전향무효선언'과 함께 북녘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송환을 요구했고 이에 통일부가 자격문제와 상호주의 문제 등으로 시간을 끌다가 마침내 2차 송환방침을 당사자들에게 통보까지 한 일이 있었으나 극우세력의 난동과 공안정국 조성 등으로 송환이 불발된 일도 있었다.

'자격문제'와 '상호주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비전향장기수 송환문제'가 6.15공동선언 합의에 따른 것인데 비해 '국군포로·납치자문제'는 이후 장관급회담, 적십자회담 등을 통해 '전쟁시기와 그 이후 행방불명된 사람들'로 개념 규정되어 사실상 관계가 없는 별개의 문제라고 하면서 2차 송환은 "오직 통일부의 송환 결정만 남아있는 상태"라고 강조했다.

더욱이 2차 송환희망자 33명중 오랜 옥고와 고문 후유증, 고령으로 인해 19명은 숨을 거두고 현재 14명이 힘겨운 투병생활을 이어가며 송환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에는 김동섭, 류기진, 서옥렬 선생이, 지난 4월에는 허찬형 선생이 세상을 떠났으며, 88살의 강담 선생은 폐암말기의 시한부 인생을 살고 있고, 외동 딸과의 재회를 꿈꾸며 송환을 기다리는 박종린 선생도 직장암으로 어려운 투병생활을 하고 있다.


7f244aa7274562be0b5872c3e13e1d8d.jpg

▲ 비전향장기수 선생님들이 송환되는날을 기다리며 퍼포먼스를 진행하였다. [사진제공-비전향장기수송환 20돌기념 준비 사회단체 대표자회의]


"비전향장기수 2차 송환은 6.15공동선언 합의사항이면서 판문점선언에서의 ‘인도주의 문제 해결’ 합의이기도 하다. 또한 헌법과 세계인권선언·국제인권협약이 규정한 ‘거주이전의 자유’, ‘자국으로 돌아갈 권리’ 등 인간의 기본인권 보장문제이다."


비전향.jpg

▲이날 행사에는 시계방향으로 비전향장기수 양원진, 박희성, 양희철, 김영식  선생님이 참석하였다. [사진제공-비전향장기수송환 20돌기념 준비 사회단체 대표자회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1 “비가 오든 눈이 오든 판 깔아!” file anonymous 2012.03.12 3247
540 [뉴라이트는 어떻게 역사를 왜곡했나]<1> 우리는 왜 뉴라이트를 수구세력이라 부르는가? anonymous 2012.11.15 3230
539 통일애국열사 문상봉 선생 작고 anonymous 2013.02.17 3215
538 [자주민보] (부고) 민족시인 이기형 선생 작고 anonymous 2013.06.13 3202
537 [기고] 잔치상에 재뿌리는 B-52 출격 - 권오헌 명예회장 file anonymous 2014.02.18 3175
536 [기고] 되살아나고 있는 유신망령 - 권오헌 file anonymous 2013.05.18 3158
535 [통일뉴스] "'8.15 양심수 사면’ 단행하라!" file anonymous 2013.08.01 3148
534 [한겨레왜냐면] 공덕을 쌓으려는 재물은 깨끗해야 한다 anonymous 2012.10.23 3125
533 [뉴라이트는 어떻게 역사를 왜곡했나] <2> 일제가 조선에 철도를 놓은 이유는? anonymous 2012.11.21 3041
532 [기고] 제정당·사회단체연석회의 65돌을 맞는 현재적 과제 - 권오헌 양심수후원회명예회장 file anonymous 2013.04.18 3011
531 [기고] 국정원의 대선 개입 대통령은 떳떳한가 - 권오헌(양심수후원회명예회장) file anonymous 2013.06.24 2929
530 조의방북은 무죄다 anonymous 2012.08.28 2899
529 [기고] 세계인권선언 65돌 맞는 박근혜 정부의 반인권 실태 - 권오헌 file anonymous 2013.12.24 2813
528 장준하의 부활로 유신독재의 부활을 막으라 anonymous 2012.08.25 2778
527 [자주민보] 보람된 인생이란 무엇인가 anonymous 2013.10.29 2710
526 [기고] 범민련 탄압은 7.4, 6.15 합의를 부정하는 반통일 범죄행패 file anonymous 2013.07.31 2689
525 [기고] 정당·사회단체해산기도 당장 중단하라 - 권오헌 file anonymous 2013.11.28 2681
524 [자주시보] 종북 공안몰이 맞서 자주통일 세상 열자 anonymous 2015.03.27 2649
523 민주주의를 위하여 anonymous 2012.09.18 2618
522 [통일뉴스] 민족시인 이기형 운명, 향년 96세 anonymous 2013.06.13 2617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