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기자회견 참가자까지 연행
4일, '경찰 과잉진압 규탄' 기자회견서 6명 연행... 나흘간 247명
2009년 05월 04일 (월) 14:43:22 박현범 기자 cooldog893@tongilnews.com

   
▲경찰은 4일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집회로 간주해 참가자 6명을 강제 연행했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경찰의 '묻지마 연행'이 4일까지 이어졌다.

경찰은 지난달 30일부터 2일까지 서울 도심에서 진행된 노동절, '촛불 1주년' 집회에서 총 241명을 마구잡이로 연행한 데 이어, 4일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집회로 간주해 정의헌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 등 참가자 6명을 강제연행했다.

광장 '원천봉쇄'와 '인간사냥'식 강제연행에 이어 '고무줄 잣대'로 기자회견까지 불법시 해 '표현의 자유'가 말살되고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민주노총 조합원 등 지난 노동절과 '촛불 1주년' 집회에 참가했던 30여 명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노동절 및 촛불 1주년 경찰 과잉진압 규탄' 기자회견을 열려고 했지만, 경찰은 150여명의 병력을 동원해 밀어냈다. "시민들의 통행을 방해한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경찰 측의 한 관계자는 "피켓, 구호, 자유발언을 하면 집회다"라며 기자회견을 막은 이유를 '미신고 집회'로 들었다. 경찰마다 이유가 제 각각인 것이다. 이 관계자는 기자가 '구호 한 번 하지 않은 상태고, 시작도 하지 않았는데 집회로 간주할 수 있냐"고 묻자 "미신고 집회는 막아야 한다"고만 말했다.

   
▲경찰이 에워싸고 있는 가운데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기자회견 참가자들 사이에 서 있는 경찰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경찰 측은 1시간 가량 참가자들을 고립시키다, 경찰청 정문에서 50미터 가량 떨어진 민원봉사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게 했지만 '정치적 발언'이 나오는 등 "기자회견이 불법집회로 변질 됐다"면서 세 차례 해산방송을 한 뒤 강제연행했다. '진보'와 '보수'를 막론, 시민사회단체들이 의례하는 수준의 기자회견에 이례적으로 과도한 대응을 하는 경찰을 향해 비난이 쏟아졌다.

인권단체연석회의 명숙 활동가는 "이렇게 기자회견까지 경찰이 폭력적으로 막은 것은 처음"이라며 "보수단체 100여 명이 피켓들고 구호 외쳐도 순수하지 않다(기자회견이 아니다)고 얘기한 적 있냐?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는 듣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단체 공권력감시대응팀의 랑희 활동가도 "4월 30일 경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여기에서 똑같이 했다"면서 경찰의 '고무줄 잣대'를 지적했다.

   
▲마스크와 후드티 모자를 쓴 채 기자회견 참가자들을 채증하고 있는 경찰.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연행 기준도 모호했다. 경찰은 "정치적 발언을 하면 불법집회 주동 혐의로 검거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날 연행된 이들은 사회를 본 명숙 활동가와 기자회견문을 낭독한 정의헌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4명은 발언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 경찰 관계자는 기자회견 전 극렬하게 행동한 이들도 연행했다고 말했다. 경찰이 물리력을 동원해 기자회견을 1시간 가량 막는 데 거세게 항의했던 이들에 대한 '보복성 연행'인 셈이다. 기자회견을 열기 위해 30여 명이 모인 이날 경찰 측에선 다섯 명이 체증을 하는 것이 목격됐다.

기자회견마저 불법시한 경찰의 이 같은 대응이 노동절과 '촛불 1주년' 영향탓인지 이후 방침으로 지속될 것인지 주목된다. 앞서 불법집회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천명했던 공안당국은 노동절과 '촛불 1주년'을 기념하는 집회가 열린 지난 사흘간 총 241명을 연행했고 이 중 1명을 구속,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날까지 총 연행자 수는 247명으로 지난해 촛불집회 이후 최대다.

인권단체연석회의, 민주노총, '이명박 정권 용산철거민 살인진압 범국민대책위', 한국진보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2008년의 촛불집회 때 있었던 잔인무도한 경찰 폭력이 재현되었다"며 "경찰 폭력과 불법연행을 지시한 강희락 경찰청장과 주상용 서울 경찰청장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헌법에도 보장된 집회시위의 권리는 허가될 수 없음에도 신고한 집회를 불허하며 권리를 제한한 자들이 누구인가. 누가 비무장상태의 시민에게 몽둥이를 휘둘렀으며, 누가 방패로 기자와 시민들의 머리를 가격하였는가"라고 경찰을 맹비난했다.

   
▲ 호송차에 탑승한 연행자들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죽어가고 있다"며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했다.[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박현범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0 이정훈연구위원 옥중출판기념회 양심수후원회 2021.07.11 241
319 예속과 대결에서 민족자주와 대단결로!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3.24 242
318 ‘통일애국열사 박종린 선생 민족통일장 장례위’, 추도식 개최 양심수후원회 2021.01.28 245
317 LA 동포 단체들 7.27 즈음해 성명 “민족자주의 힘으로 평화통일 이룩하자”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24 255
316 제1252회 민가협 목요집회, “설 전에 모든 양심수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10 256
315 유해송환에 대북제재로 답하는 후안무치의 야만행패 file anonymous 2018.08.13 260
314 “7년 만의 귀향, 부당한 ‘임시귀국조치’ 철회하고 영구귀국 보장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9.11 268
313 “문재인 정부는 민족자주의 길에 나서라! 민족자주대회 준비모임, 한미연합사 앞에서 24차 반미월례집회 열어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4.20 273
312 비전향장기수 송환 촉구 … 올해만 3명 사망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07 276
311 비전향 장기수 김영식 선생 미수(米壽) 잔치 『통일조국에서 화목하게 삽시다』 수필집 헌정도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4.09 277
310 KBS1 남북의 창 통일로 미래로(비전향 장기수 잊혀진 망향가) file 양심수후원회 2019.08.11 278
309 “마지막으로 가족 한번…” 구순 최고령 장기수의 마지막 소망 anonymous 2018.04.24 279
308 1232차 민가협 목요집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9.08.02 279
307 “심성 선량한 흔치 않은 선각적 지식인” 권재혁 선생 50주기 추도식 및 자료집 발간식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1.05 279
306 "살 날이 얼마남지 않았습니다"비전향 장기수 송환20년, 추석 전 2차 송환촉구 기자회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9.09 279
305 내 조국, 내 민족 사랑하는 젊은이들이 되기를 바란다 - 김영식 선생 편지글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07 281
304 민족자주대회 "한미합동군사연습 영구 중단하고 한미동맹 해체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3.16 284
303 범민련 남측본부 총회, 이태형 신임 의장 선출 양심수후원회 2021.04.08 284
302 미 대사관저라는 금기의 벽을 뛰어넘은 대학생들 즉각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23 289
301 이석기 전 의원 누나 이경진 청와대 앞 농성 1천일 기자회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5.13 290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