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기자회견 참가자까지 연행
4일, '경찰 과잉진압 규탄' 기자회견서 6명 연행... 나흘간 247명
2009년 05월 04일 (월) 14:43:22 박현범 기자 cooldog893@tongilnews.com

   
▲경찰은 4일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집회로 간주해 참가자 6명을 강제 연행했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경찰의 '묻지마 연행'이 4일까지 이어졌다.

경찰은 지난달 30일부터 2일까지 서울 도심에서 진행된 노동절, '촛불 1주년' 집회에서 총 241명을 마구잡이로 연행한 데 이어, 4일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집회로 간주해 정의헌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 등 참가자 6명을 강제연행했다.

광장 '원천봉쇄'와 '인간사냥'식 강제연행에 이어 '고무줄 잣대'로 기자회견까지 불법시 해 '표현의 자유'가 말살되고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민주노총 조합원 등 지난 노동절과 '촛불 1주년' 집회에 참가했던 30여 명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미근동 경찰청 앞에서 '노동절 및 촛불 1주년 경찰 과잉진압 규탄' 기자회견을 열려고 했지만, 경찰은 150여명의 병력을 동원해 밀어냈다. "시민들의 통행을 방해한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경찰 측의 한 관계자는 "피켓, 구호, 자유발언을 하면 집회다"라며 기자회견을 막은 이유를 '미신고 집회'로 들었다. 경찰마다 이유가 제 각각인 것이다. 이 관계자는 기자가 '구호 한 번 하지 않은 상태고, 시작도 하지 않았는데 집회로 간주할 수 있냐"고 묻자 "미신고 집회는 막아야 한다"고만 말했다.

   
▲경찰이 에워싸고 있는 가운데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기자회견 참가자들 사이에 서 있는 경찰들.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경찰 측은 1시간 가량 참가자들을 고립시키다, 경찰청 정문에서 50미터 가량 떨어진 민원봉사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게 했지만 '정치적 발언'이 나오는 등 "기자회견이 불법집회로 변질 됐다"면서 세 차례 해산방송을 한 뒤 강제연행했다. '진보'와 '보수'를 막론, 시민사회단체들이 의례하는 수준의 기자회견에 이례적으로 과도한 대응을 하는 경찰을 향해 비난이 쏟아졌다.

인권단체연석회의 명숙 활동가는 "이렇게 기자회견까지 경찰이 폭력적으로 막은 것은 처음"이라며 "보수단체 100여 명이 피켓들고 구호 외쳐도 순수하지 않다(기자회견이 아니다)고 얘기한 적 있냐?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는 듣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단체 공권력감시대응팀의 랑희 활동가도 "4월 30일 경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여기에서 똑같이 했다"면서 경찰의 '고무줄 잣대'를 지적했다.

   
▲마스크와 후드티 모자를 쓴 채 기자회견 참가자들을 채증하고 있는 경찰. [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연행 기준도 모호했다. 경찰은 "정치적 발언을 하면 불법집회 주동 혐의로 검거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날 연행된 이들은 사회를 본 명숙 활동가와 기자회견문을 낭독한 정의헌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4명은 발언을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 경찰 관계자는 기자회견 전 극렬하게 행동한 이들도 연행했다고 말했다. 경찰이 물리력을 동원해 기자회견을 1시간 가량 막는 데 거세게 항의했던 이들에 대한 '보복성 연행'인 셈이다. 기자회견을 열기 위해 30여 명이 모인 이날 경찰 측에선 다섯 명이 체증을 하는 것이 목격됐다.

기자회견마저 불법시한 경찰의 이 같은 대응이 노동절과 '촛불 1주년' 영향탓인지 이후 방침으로 지속될 것인지 주목된다. 앞서 불법집회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천명했던 공안당국은 노동절과 '촛불 1주년'을 기념하는 집회가 열린 지난 사흘간 총 241명을 연행했고 이 중 1명을 구속, 4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날까지 총 연행자 수는 247명으로 지난해 촛불집회 이후 최대다.

인권단체연석회의, 민주노총, '이명박 정권 용산철거민 살인진압 범국민대책위', 한국진보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2008년의 촛불집회 때 있었던 잔인무도한 경찰 폭력이 재현되었다"며 "경찰 폭력과 불법연행을 지시한 강희락 경찰청장과 주상용 서울 경찰청장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헌법에도 보장된 집회시위의 권리는 허가될 수 없음에도 신고한 집회를 불허하며 권리를 제한한 자들이 누구인가. 누가 비무장상태의 시민에게 몽둥이를 휘둘렀으며, 누가 방패로 기자와 시민들의 머리를 가격하였는가"라고 경찰을 맹비난했다.

   
▲ 호송차에 탑승한 연행자들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죽어가고 있다"며 경찰의 '과잉진압'을 규탄했다.[사진-통일뉴스 조성봉 기자]

박현범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8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 제25회 불교인권상 수상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1.21 214
317 "민족을 위해 단결하자!" 범민련 남측본부, '범민련 결성 29돌 기념대회' 개최(전문)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1.25 236
316 1246차 민가협 목요집회, “국가보안법, 존재 의미 상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1 241
315 (사)양심수후원회와 옴시롱감시롱 함께하는 역사기행 ‘독립운동의 산실, 안동을 가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1 229
314 권오헌 명예회장, 민족통신 2019년 특별상 수상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4 212
313 감나무 보러 만남의집으로 오세요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4 199
312 ‘민족일보 조용수 사장 58주기 추모식’ 진행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23 171
311 올해 마지막으로 보내는 탑골공원의 외침, 제1,250차 민가협 목요집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27 215
310 양심수도 국가보안법도 없는 자주통일 향한 경자년으로 - 양심수후원회, 새해인사모임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07 315
309 내 조국, 내 민족 사랑하는 젊은이들이 되기를 바란다 - 김영식 선생 편지글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07 281
308 '통일애국지사 고 김남식 선생 15주기 추모식' 거행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10 232
307 제1252회 민가협 목요집회, “설 전에 모든 양심수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10 256
306 이란 파병은 ‘지정학적 자살’, 시민사회토론회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20 208
305 시민단체 "내정간섭 중단하고 해리스는 이 땅을 떠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23 11182
304 미 대사관저라는 금기의 벽을 뛰어넘은 대학생들 즉각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23 289
303 설 명절을 맞아 귀한 손님들께서 낙성대 만남의집을 찾아오셨습니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30 423
302 여러분께 드리는 장기수 선생님들의 새해 덕담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30 330
301 “암 빨리 낫고 광화문 투쟁현장 나가고 싶어” 폐암 4기 판정받은 ‘멋쟁이’ 장기수 강담 선생 양심수후원회 2020.02.24 334
300 제1258차 민가협 목요집회, 미군을 이 땅에서 몰아내는 구축 사업을 온 민족이 해내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2.28 312
299 민족자주대회 "한미합동군사연습 영구 중단하고 한미동맹 해체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3.16 284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