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병중 서옥렬씨, 남북정상회담 앞 ‘실낱 희망’
사회단체 “인도적 차원 장기수 19명 송환해야”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41871.html?_fr=mt2#csidx039c1b3874227608e0c6ec64f0aabc3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꿈에라도 한 번 보고 싶었다. 57년 전 마지막 봤던 아내의 얼굴이 지금도 눈 앞에 아른거린다. 1961년 8월 남으로 내려오면서 병원에 있던 아내를 만나지 않고 온 것이 두고 두고 후회가 된다. 평양 선교리 대동강을 막 건너면 보이던 아파트 5층 8호실이 그가 살던 집이었다.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24일 “이상하대…. 간절히 바라도 (아내가) 한 번도 꿈에 나타나질 않아”라고 말했다.

서씨는 최근 폐에 물이 차 올라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이날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의 한 병원에서 만난 서씨의 얼굴은 수척했고, 손과 발은 앙상했다. 밥을 잘 먹질 못해 약을 먹는 것조차 꺼린다. 날이 흐리면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여길 봐봐, 뼈가 정상이 아니야….젊었을 땐 몰랐는데, 나이가 드니까 증상이 와요.” 그의 마지막 소원은 죽기 전 아내와 두 아들을 만나는 것이다. 5살(56년생), 3살(58년생)이었던 두 아들을 생전에 볼 수 있을까?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서씨의 삶은 ‘분단의 아픔’ 그 자체다. 전남 신안 출신인 그는 고려대 경제학과 재학중이던 1950년 한국전쟁 때 인민군에 입대했다. 북에선 강원도 천내군 중학교에서 교원 생활을 하다가 ‘여성 교원’(30년생)을 만나 사랑했고 결혼했다. 1961년 공작원으로 남파돼 고향 집을 방문했다가 붙잡혔다.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기소돼 29년을 감옥에서 보냈다. “여보! 당신, 살아있는지 궁금하기 그지없구려…” 서씨는 1998년 아내에게 쓴 편지를 아직 부치지 못했다.

서씨는 요즘 실날같은 희망을 다시 키우고 있다. 27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에 훈풍이 돌면 ‘송환’ 문제도 풀릴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서씨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가족들을 한번 만나고 싶다. 하다 못해 인도적 측면에서 얼굴 볼 기회라도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씨를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씨는 “최근 기억도 깜빡깜빡하시는 상태인데, 며칠 전 ‘아직은 못 죽어’라고 하셔서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서씨처럼 북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이는 19명이다.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6·15공동선언에 따라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북으로 송환된 뒤 남은 2차 송환 요구자 33명 중 19명만 생존해 있는 상태다. 이들은 모두 80~90대의 고령으로, 1차 송환 대상에 포함됐어야 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아 신청을 못했거나 국가폭력으로 강제전향했다는 이유로 보수세력이 반발해 송환 시기를 놓친 이들이다.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양심수후원회·한국진보연대 등은 지난 18일 청와대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전향 장기수들은 분단과 냉전의 산물이다. 동포애와 인도주의 정신으로 조속히 19명을 송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9 감나무 보러 만남의집으로 오세요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4 199
358 7.20 이석기 전 의원 석방 대회 및 아베 규탄 대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9.07.23 201
357 낙성대 ‘만남의 집’에서 비전향장기수 선생님들께 새해인사를 드리면서 ‘송환’을 기원하다 양심수후원회 2021.01.02 202
356 200인 원로, 국가보안법 폐지 선언.."21대 국회는 소명을 다하라"(전문) 양심수후원회 2021.06.02 203
355 방위비 분담금 인상·지소미아 연장 강요하는 미국 규탄 제1243차 민가협 목요집회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1.07 205
354 이란 파병은 ‘지정학적 자살’, 시민사회토론회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1.20 208
353 “한 세기 빛바랜 적 없었던 통일의 붉은 꽃” ‘통일애국열사 박정숙 선생 민족통일장’ 추도식 열려 양심수후원회 2020.10.05 208
352 ‘분단시대의 망명객 故 정경모 선생 추도식’ 열려 양심수후원회 2021.04.02 209
351 시민단체들 `대진연 회원 구속 부당하다! 즉각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6.19 210
350 권오헌 명예회장, 민족통신 2019년 특별상 수상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04 212
349 만남의집에서 ‘통일닭백숙’ 잔치 양심수후원회 2021.03.24 213
348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 제25회 불교인권상 수상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1.21 214
347 『세기와 더불어』 출판 김승균 대표에 대한 압수수색 규탄과 국가보안법 폐지를 위한 긴급 기자회견 양심수후원회 2021.05.29 214
346 올해 마지막으로 보내는 탑골공원의 외침, 제1,250차 민가협 목요집회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2.27 215
345 남민전 서기 이재문 선생의 부인 고 김재원 여사 추도식 양심수후원회 2022.01.30 217
344 선생님의 뜻 이어받아 조국통일 완수하자 <통일애국열사 고 류종인 선생님 3주기 추도식> file 양심수후원회 2019.08.31 218
343 민주노총지지 재미협의회, 엘에이에서 민주노총 7.2 전국노동자대회 지지 집회 열어 file 양심수후원회 2022.06.28 219
342 '우리들의 다짐은 공고히, 선생님들의 뜻은 영원히'낙성대 ‘만남의집’ 거주 통일애국열사 합동추모제 file 양심수후원회 2019.10.04 220
341 <속보> 김영식 선생, 만남의집 텃밭에서 호박 등 수확해... file 양심수후원회 2019.09.02 221
340 전국 50여 곳에서 “문 열어! 지금 당장! 이석기 전 의원 석방하라” 양심수후원회 2021.07.11 222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