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병중 서옥렬씨, 남북정상회담 앞 ‘실낱 희망’
사회단체 “인도적 차원 장기수 19명 송환해야”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41871.html?_fr=mt2#csidx039c1b3874227608e0c6ec64f0aabc3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가 24일 오전 광주 북구 한 병원에서 송환을 바라는 심경을

이야기하고 있다.정대하 기자


꿈에라도 한 번 보고 싶었다. 57년 전 마지막 봤던 아내의 얼굴이 지금도 눈 앞에 아른거린다. 1961년 8월 남으로 내려오면서 병원에 있던 아내를 만나지 않고 온 것이 두고 두고 후회가 된다. 평양 선교리 대동강을 막 건너면 보이던 아파트 5층 8호실이 그가 살던 집이었다.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24일 “이상하대…. 간절히 바라도 (아내가) 한 번도 꿈에 나타나질 않아”라고 말했다.

서씨는 최근 폐에 물이 차 올라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 이날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의 한 병원에서 만난 서씨의 얼굴은 수척했고, 손과 발은 앙상했다. 밥을 잘 먹질 못해 약을 먹는 것조차 꺼린다. 날이 흐리면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여길 봐봐, 뼈가 정상이 아니야….젊었을 땐 몰랐는데, 나이가 드니까 증상이 와요.” 그의 마지막 소원은 죽기 전 아내와 두 아들을 만나는 것이다. 5살(56년생), 3살(58년생)이었던 두 아들을 생전에 볼 수 있을까?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최고령 장기수 서옥렬(90·광주시 북구 각화동)씨는 요즘도 날이 흐르면 몸이 쑤시는 고문 후유증에 시달린다.

서씨가 고문 당해 뼈가 으스러진 발 부분을 가르키고 있다.정대하 기자


서씨의 삶은 ‘분단의 아픔’ 그 자체다. 전남 신안 출신인 그는 고려대 경제학과 재학중이던 1950년 한국전쟁 때 인민군에 입대했다. 북에선 강원도 천내군 중학교에서 교원 생활을 하다가 ‘여성 교원’(30년생)을 만나 사랑했고 결혼했다. 1961년 공작원으로 남파돼 고향 집을 방문했다가 붙잡혔다.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기소돼 29년을 감옥에서 보냈다. “여보! 당신, 살아있는지 궁금하기 그지없구려…” 서씨는 1998년 아내에게 쓴 편지를 아직 부치지 못했다.

서씨는 요즘 실날같은 희망을 다시 키우고 있다. 27일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에 훈풍이 돌면 ‘송환’ 문제도 풀릴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서씨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가족들을 한번 만나고 싶다. 하다 못해 인도적 측면에서 얼굴 볼 기회라도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씨를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씨는 “최근 기억도 깜빡깜빡하시는 상태인데, 며칠 전 ‘아직은 못 죽어’라고 하셔서 마음이 아팠다”고 말했다.

서씨처럼 북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이는 19명이다.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6·15공동선언에 따라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북으로 송환된 뒤 남은 2차 송환 요구자 33명 중 19명만 생존해 있는 상태다. 이들은 모두 80~90대의 고령으로, 1차 송환 대상에 포함됐어야 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아 신청을 못했거나 국가폭력으로 강제전향했다는 이유로 보수세력이 반발해 송환 시기를 놓친 이들이다.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양심수후원회·한국진보연대 등은 지난 18일 청와대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전향 장기수들은 분단과 냉전의 산물이다. 동포애와 인도주의 정신으로 조속히 19명을 송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1992년 대학생 기자 때 서옥렬씨의 사연을 인터뷰한 뒤 지금껏 인연을 이어왔던 정경미(47·오른쪽)씨가 24일 아침 최고령 비전향 장기수 서옥렬씨를 찾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정대하 기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8 "살 날이 얼마남지 않았습니다"비전향 장기수 송환20년, 추석 전 2차 송환촉구 기자회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9.09 279
397 [추도사] 조국과 가족 품으로의 염원 – 끝내 못보시고 가신 강담 선생님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23 150
396 2차 송환 희망자 장기수 강담 선생 별세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23 143
395 [6.15청학본부 전 집행위원장 국가보안법 유죄 확정판결 규탄 기자회견] 개최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21 326
394 비전향장기수 송환20주년 기념행사위원회, 투병중14명 조속한 2차송환 촉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19 155
393 민족의 자주와 대단결을 위한 3차 조국통일촉진대회 개최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17 161
392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추진위, 8월 25일부터 한 달간 전시회 개최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04 146
391 청와대 앞에서 이석기 전 의원 석방 촉구 법회 열려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04 119
390 종교·시민사회, 비전향장기수 2차 송환 등 인도주의 문제해결 촉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8.01 157
389 권오헌 선생님 영상발언 [이경진선생 쾌유기원및 이석기의원 8.15석방촉구 기자회견]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30 312
388 LA 동포 단체들 7.27 즈음해 성명 “민족자주의 힘으로 평화통일 이룩하자”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24 255
387 '쌍무기수' 88세 박종린 "이제는 저를 북녘땅으로 보내주세요"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13 174
386 남민전 전사 안재구 선생님이 살아오신 길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10 180
385 ‘통일애국지사 고 안재구 선생 민주사회장’ 엄수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10 130
384 "감옥에서 벌써 8년째... 이석기를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7.02 145
383 [추모의 글] 30년 간 곁에서 본 민가협 임기란 회장님의 투쟁 양심수후원회 2020.07.02 123
382 권오헌선생님[영상발언] 통일애국열사 박창균.이희영정신계승! 미군철거! 보안법철폐!(6월17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6.25 135
381 시민단체들 `대진연 회원 구속 부당하다! 즉각 석방하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6.19 210
380 6.15공동선언 발표 20돌을 맞아 26차 반미월례집회 열어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6.19 152
379 권오헌선생님[영상발언] 흰돌 강희남정신계승 보안법철폐 미군철거집회(6월6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0.06.16 140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