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미술작가 송창 화백, 비전향장기수를 담아낸 '강과 사람'전

36F24FCF-8797-4E4C-A3F1-264E7EEB42D8.jpeg

송창 화백의 ‘강과 사람’전


경향신문 정지윤 기자


‘현직사진기자와 민중미술 작가의 사진과 그림의 콜라보’


지난 40여 년간 한반도 분단의 풍경을 그려온 민중미술 작가 송창 화백(67)이 수원시 영통구 아트스페이스 광교 1, 2 전시실에서 ‘江과 사람’전을 열고 있다. 송창, 류연복, 김보중, 이흥덕 등 작가 17명 참여했다. 지난 10년간 남북의 분단현실을 화폭에 담아낸 작품들이다. (사)경기민예총이 주최하고 (사)경기민족미술인협회가 주관했다.


송 화백은 1982년 결성된 ‘임술년’ 동인으로 당시 민중미술의 거점이었던 ‘그림마당 민’에서 개인전을 시작으로 대표적인 민중미술화가로 활동했다. 그의 작업은 동족상잔의 현장, 전쟁의 뚜렷한 상흔에 대한 고발을 담아낸다. 민간인이 접근하지 못하는 눈밭 너머 포탄의 불꽃이 타오르는 ‘섬광’, 연천에서 원산으로 향하던 쓸쓸한 기찻길의 풍경을 담아낸 ‘기적 소리’ 등 일상의 풍경 속에서 분단의 아픔을 그려내고 있다.


336A810F-5A00-4C4D-B9BF-B4F9985B7218.jpeg민중미술 작가 송창 화백/2017. 광주일보 최현배 기자 제공


송 화백의 이번 작품은 지난해 10월 열린 경향신문 정지윤 사진기자의 사진전 ‘비전향장기수 19인의 초상’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전국에 흩어져 살고 있는 비전향장기수들을 만나 그들의 구술을 기록하고 초상과 일상을 사진에 담은 작품이었다. 사진전 속의 비전향 장기수들은 수감생활을 마쳤지만, 생활고에 묶이고 병에 묶여 감옥 밖에서도 영어의 몸과 다를 바가 없었다. ‘빨갱이’라는 낙인 때문에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웠고, 복역하는 동안 얻은 지병들로 인해 일상생활조차 힘들었다. 대부분이 생계급여와 노령연금에 의지해 궁핍한 삶을 이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사진 속의 비전향 장기수들의 눈빛은 영롱하고 순수했다. 송 화백은 사진속의 비전향 장기수들의 염원을 화폭에 펼쳐 놓았다. 사진전 속의 원본 사진과는 달리 표현적인 붓질이 강렬하다.


26B2AF8D-36C0-47D7-974B-5E0A91FF2875.jpeg

송창 화백의 그림과 정지윤 기자의 비전향 장기수 사진작업 중 고 서옥렬 선생의 생전모습(오른쪽)


1976A9CA-B8A8-4C85-86F9-9BCFC193A524.jpeg

송창 화백의 그림과 정지윤 기자의 비전향 장기수 사진작업 중 허찬형 선생의 모습(오른쪽)


8AB391B8-8559-448B-AA16-979C0F403961.jpeg

송창 화백의 그림과 정지윤 기자의 비전향 장기수 사진작업 중 고 류기진 선생의 생전모습(오른쪽)


F4EC7AA4-10AA-47DA-A09D-F491B2255445.jpeg

송창 화백의 그림과 정지윤 기자의 비전향 장기수 사진작업 중 고 김동수 선생의 생전모습(오른쪽)


4A0F2321-CACA-4648-8F1D-89AEF4281034.jpeg

송창 화백의 그림과 정지윤 기자의 비전향 장기수 사진작업 중 고 김동섭 선생의 생전모습(오른쪽)


83FC3E5C-2CB4-4479-8B95-95E072AF5234.jpeg

송창 화백의 그림과 정지윤 기자의 비전향 장기수 사진작업 중 이광근 선생의 모습(오른쪽)


“지금도 빨갱이라는 말이 쓰이고 있다는 것 좌파, 우파라고 나누는 것 등 분단의 현실은 우리의 삶 속에서 계속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저도 다시 생각해보며 분단이 잊혀져서는 안 될 일이며 해결되어야 할 일 임을 깊이 생각해보게 됩니다.”


A48896C8-255C-49EA-ACB3-50981FB96262.jpeg

강과 사람


[출처] 송창 <‘잊혀진 풍경’ 분단이 기억되길 바라며>


이번 전시는 이달 27일까지 열린다.


원문 : http://m.khan.co.kr/view.html?art_id=20191016180900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0 국가보안법 제정 73년, '고통이고 수치'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2.02 158
479 2021 반미자주대회 '미 패권에 영합하는 불평등한 한미동맹 끊겠다'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1.28 223
478 40년 만에 열린 통일열사 이재문 선생 추모제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1.22 158
477 재일 한통련, ‘2021전국반미자주대회’ 성원 시위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1.22 133
476 “한미당국, 적대행위와 합동군사연습부터 중단해야”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1.11 152
475 “우리 운명은 우리가 결정! 한미국방워킹그룹 반대!” 양심수후원회 2021.11.05 118
474 10년째 북한으로 보내 달라는 여성, 정부는 왜 그를 붙잡아두는가 [다큐로 보는 세상] 양심수후원회 2021.11.02 139
473 재미동포·진보적 미국인들 “민주노총 총파업 지지한다” 양심수후원회 2021.10.18 137
472 『세기와 더불어』 출판 허용과 국가보안법 위반 기소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0.09 129
471 조국통일촉진대회 준비위, 11월 반미연합대회 추진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0.09 151
470 제주에서 국가보안법폐지 전국대행진 출발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0.09 136
469 20년 복역한 장기수 이광근의 고향가는 길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0.09 142
468 종전선언 이전에 한미합동군사연습 중단부터 file 양심수후원회 2021.10.04 164
467 “가슴에 ‘통일 징검다리’ 놓아준 ‘여성 3인방’ 모두의 딸로 살겠습니다” 양심수후원회 2021.09.27 105
466 [인터뷰] 2차송환 희망 비전향장기수 3인, 박희성·김영식·양희철 선생 양심수후원회 2021.09.24 163
465 빨치산 출신 2차송환 희망 김교영 선생 별셰 양심수후원회 2021.09.20 150
464 시민사회 원로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석방하라" 양심수후원회 2021.09.10 126
463 감옥에서 27년, 송환 기다린 21년.."내 고향으로 날 보내주시오 양심수후원회 2021.09.06 148
462 조국통일촉진대회 준비위, ‘한미군사연습 중단 촉구 공동행동’ 9일차 진행 양심수후원회 2021.09.01 153
461 한미연합 군사연습 중단하고 남북관계 전면개선에 나서라! file 양심수후원회 2021.08.18 181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