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이 60주기, 최백근·조용수 선생 삶 조명 심포지엄 개최하자”


1961년 12월 20일은 사회당 최백근 선생과 민족일보 조용수 사장이 사법살인을 당한 날이다. 이를 추모하기 위해 지난 19일에 코로나 19사태를 고려하여 조촐한 묘소참배 행사가 열렸다.

  •                                             마석/남한산성=이창훈 통신원 
  •  
  •  입력 2020.12.21 23:56
  •  
  •  댓글 0

[사진-통일뉴스 이창훈 통신원]
마석 모란공원에서 진행된 최백근 선생 묘소참배. [사진-통일뉴스 이창훈 통신원]


오전 11시 마석 모란공원에서 진행된 최백근 선생 묘소참배에서는 1928년 광주학생운동을 계기로 항일운동에 나섰으며, 해방 이후 여운형 선생과 함께 좌우합작운동을 통해 민족자주국가를 수립하려 했고, 4.19혁명 이후 광양에서의 민의원 출마 그리고 사회당 결성을 통해 민족통일운동을 했던 선생의 삶을 기억했다.

이어 정오 12시에는 남한산성 내에 위치한 조용수 선생 묘역에서는 스무 살이던 1950년 한국전쟁이 벌어지자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생활을 하던 중 1956년 진보당 사건이 벌어지자 조봉암 구명운동을 벌이면서 민족운동에 눈을 뜬 선생이 4.19혁명 이후 귀국하여 민족통일운동을 위해 민족일보를 창간한 선생의 삶을 이야기했다.

그러나 결국 두 사람은 1961년 5.16쿠데타 세력에 영어의 몸이 되었으며, 그해 12월 국가재건최고회의 박정희 의장의 사형집행명령서에 의해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야 했다.

이날 추모식은 예년과 달리 10여 명 내외의 참석으로 진행되었으며, 순서도 추도사 외에는 특별한 순서를 갖지 않았다.

두 곳 묘소참배에서 추도사를 한 양심수후원회 권오헌 명예의장은 “선생들의 소원은 바로 민족통일국가를 이룩하는 것이었다”고 전재하면서 “최근 대북전단살포금지법(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을 두고 미 하원 외교위원회 소속 민주당 제럴드 코널리 의원과 미 하원 ‘톰 랜토스 인권위’ 공동의장인 크리스 스미스 공화당 의원 등이 표현의 자유 운운하며 개정된 법을 비난한 것은 심각한 주권 침해이며, 남북통일을 반대하는 미국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것이고, 이것은 민족통일의 가장 큰 걸림돌이 미국이라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다”라고 강하게 발언하였다.


남한산성 내에 위치한 조용수 선생 묘역에서 진행된 참배. [사진-통일뉴스 이창훈 통신원]
남한산성 내에 위치한 조용수 선생 묘역에서 진행된 참배. [사진-통일뉴스 이창훈 통신원]


조용수 선생 묘역 참배에서는 특별히 조용수선생기념사업회 원희복 이사장이 나서 올해 만들어진 민족일보 디지털 영인본 사업보고와 <통일뉴스> 20주년 행사일에 시상한 조용수상 시상식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이렇게 마무리된 두 참배행사에서 참석자들은 “내년이 사후 60주기이다. 이를 위해 두 분의 삶을 재조명해보는 심포지엄 등 다양한 사업을 펼쳐 보자”라는 포부를 밝히며 행사를 마무리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 평양여성 김련희 이야기 file anonymous 2016.04.27 1043
199 4월 정신으로 반민중 반민주 반민족을 심판하자 file anonymous 2016.04.14 767
198 김영식 선생님의 생신축하모임이 있었습니다 file anonymous 2016.04.08 961
197 1070회 민가협 목요집회 file anonymous 2016.04.08 1230
196 핵전쟁으로 몰아가는 제재남발과 평양진공작전 file anonymous 2016.03.23 1330
195 누가 집권자에 대결과 전쟁공포감 조장을 위임했었나 file anonymous 2016.02.26 849
194 출소장기수를 찾아서 file anonymous 2016.02.05 1132
193 동족 대결과 체제 전복 노리는 ‘북한인권법안’ file anonymous 2015.12.29 954
192 남북관계, '원칙의 승리'아닌 '원칙의 합의'로 anonymous 2015.12.24 724
191 6.15남측위 '남북 당국회담 앞두고 북한인권법 제정?'국회앞 기자회견 anonymous 2015.12.08 772
190 <통일뉴스> 인권단체들, 이정훈 씨 보안관찰 기간갱신 취소 판결 '환영' file anonymous 2015.11.24 704
189 "김련희 씨를 가족 품으로 돌려보내라!", <통일뉴스> 김련희송환촉구준비모임, 통일부 앞 기자회견 개최 anonymous 2015.11.17 1869
188 김련희 씨를 가족의 품으로, <통일뉴스 기고> 권오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 file anonymous 2015.11.17 996
187 [통일뉴스] “구속 노동자·양심수를 가족의 품으로” anonymous 2015.09.16 883
186 [기고] 주권평등의 원칙과 자주통일의 원칙 - 권오헌 file anonymous 2015.09.16 1130
185 [자주시보] 분단극복이 양심수 없는 세상 만든다 - 2015 추석맞이 양심수면회공동행동 시작 anonymous 2015.09.16 1102
184 [통일뉴스] 자주통일만이 참된 광복이고 해방이다 - 권오헌 file anonymous 2015.08.21 1239
183 [통일뉴스] 전쟁반대국민행동, '8.15 반전평화 시국행동' 돌입 anonymous 2015.08.11 991
182 [통일뉴스] "90년 세월 어느 한 때도 빛바랜 적 없었던 통일의 붉은 꽃" anonymous 2015.08.11 991
181 [통일뉴스] '범민련 할머니' 김선분 선생 별세 anonymous 2015.08.11 870

CLOSE

회원가입 ID/PW 찾기